카테고리 없음

동충하초란.....

약초 매니아 심마니 2008. 3. 4. 13:58

동충하초(冬蟲夏草)는 겨울에는 벌레로 있지만, 여름에는 풀로 변한다고하여 이름 붙여진 신비의 약물입니다. 넓은 의미에서는 곤충류에서 피어나는 버섯을 둥충하초라고 하지만, 분류학적으로는 자낭균강 맥각균과(Clavicipitaceae)에 속하며, 코디셉스속(Cordyceps Sp.)에 포함되는 종을 동충하초라고 합니다. 현재까지 밝혀진 바로는 전세계적으로 약 100속 750여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모든 종류의 동충하초가 모두 약리효과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연구를 통해 실제 효능이 인증된 동충하초는 코디셉스 밀리타리스(Cordyceps militaris)와 코디셉스 시넨시스(Cordyceps sinensis)등이 있습니다.

 약제로 사용하는 동충하초는 이런 동충하초균이 박쥐나방과(Hpialidae)곤충인 박쥐나방(Hepialus armoricanus Oberthur)의 유충(幼蟲)에서 기생하여 자란 자실체와 유충을 말합니다. 진균자실체가 유충의 머리위로부터 길게 나온 모양입니다. 충체는 나방의 유충으로 누에와 비슷합니다.

한의학적으로 동충하초의 기미(氣味)는 감온(甘溫)하고, 귀경(歸經)은 폐경(肺經)과 신경(腎經)으로 되어 있는 약물로, 채집시기는 하지전후에 쌓인 눈이 아직 녹지 않을때 산에서 채취하는데 대개는 6월에서 7월경입니다.
 
 예로부터 동충하초는 폐(肺)와 신(腎)을 보(補)하고, 기침을 멈추며, 출혈을 멈추고 담(痰)을 없애며, 허손(虛損)을 보(補)하며, 정기(精氣)를 더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따라서 가래가 끓는 기침, 허약하여 생기는 기침, 노쇠하여 생기는 기침, 각혈(角血), 자한(自汗), 도한(盜汗), 양위(陽胃), 유정(遺精), 허리나 무릎이 시리고 아픈경우, 질병 후에 오래도록 허약하며 회복되지 않는 경우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현대의 과학적인 연구의 결과로, 동충하초에는 동맥경화의 원인이되는 고지혈증, 혈소판집성, 혈액 응고 등을 억제시키는 성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산화 작용을 하는 Glutathione의 구성분이 다른 아미노산보다 현저하게 많이 함유하고 있고, 고혈압을 억제 시키는 성분도 함유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항암효과를 지닌 Cordycepin은 중국산의 동충하초보다 국내에서 인공적으로 배양한 동충하초에 현저하게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동충하초를 사용할때 용량은 보통4~15g으로, 다른 약과 함께 달여서 음용하든가 혹은 환제나 산제로도 사용합니다. 다만, 폐에 열(熱)로 인하여 발생한 객혈(喀血)과 표사(表邪)가 있는 사람에게는 음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동충하초의 효능에는
1. 예로부터 중국에서는 인삼, 녹용, 동충하초를 3대 한방약으로 취급하여 불로 장생의 비약으 로 활용하여 왔습니다.
2. 종양억제율 83%의 높은 항암성분으로 항암효과가 높아 훌륭한 항암치료보조제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3. 특히 폐암, 간암, 유방암의 치료와 예방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러한 환자들에게는 상황버섯과 더불어 병용하여 복용하고 있습니다.
4. 국내에서 번데기 동충하초를 핵산으로 추출한 물질에서 폐암, 간암, 유방암 세포에서 암세포에대해 85% 이상의 억제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5.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은 동충하초의 성장도중에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이 성분은 전혀 부작용이 없고,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뛰어난 작용 그것은 암세포 자체의 억제와 번식속도를 억제하는 효과를 의미 합니다.
6. 큰병을 앓고나후, 수술후, 빈혈, 허약체질 등 기력이 매우 쇠할때 효과를 볼수 있습니다.
7. 저항력증강, 세균이나 바이러스감염 등의 증상에 뛰어난 효과를 나타냅니다.
8. 면역기능을 가진 충초다당 이라는 물질이 질병에대한 저항력을 높여 주므로 질병의 회복속도를 매우 빠르게 합니다.